GUI가 등장했을 때 내세웠던 장점이 “복잡한 명령어와 옵션을 외우지 않아도 돼서 비전문가도 컴퓨터를 쓸 수 있다”였습니다. 당시 GUI를 장난감 같다고 평한 사람들도 있었지만 어쨌든 오늘날 GUI는 대세가 되었습니다.

오늘날 리눅스에서도 GUI는 낯선 것이 아닙니다. 과학 관련 다큐멘터리들에서 연구원들이 쓰는 우분투 리눅스 데스크톱 화면을 비추는 장면을 종종 볼 수 있을 정도죠. 그렇지만 리눅스 하면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명령행 인터페이스(command-line interface, CLI)를 떠올립니다.

사람들이 흔히 떠올리는 리눅스

일상에서는 GUI를 많이 쓰기는 하지만 명령어 방식에도 유용한 면이 있습니다. 손가락이 뻐근하도록 마우스 클릭을 하는 대신에 반복 작업을 자동화하거나 여러 명령어를 조합해 복잡한 작업을 처리하는 데에는 명령행 인터페이스가 여전히 효율적입니다. 그렇다면 명령어를 어느 정도 많이, 잘 알아야 할까요?

인사이트에도 리눅스 컴퓨터가 한 대 있습니다. 얼마나 많은 명령어가 들어 있는지 궁금해서 대충 세어 보았습니다.

insight@insightwiki:~$ ls -l /bin | wc -l

152

insight@insightwiki:~$ ls -l /usr/bin | wc -l

700

insight@insightwiki:~$ ls -l /usr/sbin | wc -l

140

insight@insightwiki:~$ ls -l /sbin | wc -l

204

얼추 1100개가 넘는군요(참고로 521개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과연 이 많은 명령어와 각 명령어의 옵션을 다 외워야 리눅스를 쓸 수 있는 것일까요? 명령어를 하나하나 무턱대고 외워야 한다면 입시를 위해 영어 낱말을 맥락 없이 고통스럽게 암기하는 것과 다를 바 없을 겁니다.

운영 체제를 다루는 데 필요한 몇 가지 기초 명령과 옵션들을 배우고 리눅스 배포판에 들어 있는 명령어들이 어떤 범주로 나뉘어 있는지 살펴본 후 관심 있거나 필요한 분야부터 조금씩 실제로 써 보면서 익히는 것이 덜 지루한 방법일 것 같습니다.

이번에 소개하는 『리눅스 핵심 레퍼런스』는 모든 명령어를 빼곡하게 나열하기보다는 리눅스에서 많이 하는 작업들을 범주별로 나누고 주요 명령어와 자주 쓰이는 옵션을 작고 아담한 크기에 간결하게 담아낸 책입니다. 또 앞서 언급했듯이 단순한 명령어를 조합해 복잡한 작업을 어떻게 처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예제도 보여 주고 있습니다. 책 크기가 작으니 옆에 두고 필요할 때마다 찾아보면 명령어를 억지로 외워야 한다는 부담감도 덜할지 모르겠네요.

이 책을 출발점으로 낯설었던 명령어가 놀랍도록 유용하고 강력한 도구로 탈바꿈하는 경험을 해 보면 어떨까요?

다음 인터넷 서점에서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알라딘|예스24|교보문고|인터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