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창업 붐이 다시 일고 있습니다. 저마다 다양한 동기로 창업에 뛰어듭니다. 언론에서 들려오는 성공 사례에 고무되어 시작하는 사람도 있고,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하는 회사가 없어서 회사를 그냥 직접 만드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런데 오늘날 창업 환경은 그다지 낭만적이지 않습니다. 2000년대 초반 호황과 달리 요즘 스타트업은 창업과 동시에 생존이라는 문제에 직면하게 됩니다. 이번에 소개할 책은 이러한 불확실성 속에서 스타트업을 만들고 유지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하는 데 필요한 가이드인 『린 스타트업(The Lean Startup)』입니다.

이 책의 지은이인 에릭 리스(Eric Ries)는 실제로 창업의 쓴맛과 단맛을 모두 본 사람입니다. 우울한 영화의 한 장면처럼 첫 창업에 실패한 후 에릭 리스는 IMVU라는 스타트업 창업에 합류합니다. IMVU 역시 처음에는 우여곡절이 있었습니다. 제품과 서비스를 기껏 열심히 만들었더니 돌아오는 건 무반응이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에릭 리스와 IMVU 개발 팀은 여기에서 반전을 이뤄내고 그 과정을 체계화한 것이 오늘날 린 스타트업 방법론의 모체가 됩니다.

린 스타트업의 기본 가정은, 21세기 스타트업은 그 어느 때보다 불확실성에 직면해 있고 이를 돌파해 살아남아 회사를 성장시키는 것이 스타트업에 주어진 도전이라는 것입니다. 사용자 취향은 점점 세분화되어 고객 요구 파악이 어려워지고, 어떤 해법으로 사용자를 만족시켜야 할지 점점 오리무중이 되는 환경에서 린 스타트업은 사용자의 최소 요구만 만족시키는 시제품을 신속하게 만들어 사용자에게 선보이고 그에 대한 피드백을 수집해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 만들어 그를 통해 실질적인 학습을 한 후 그 교훈을 제품 개발에 다시 반영하는 순환 방법을 제시합니다(그 과정에서 적용할 구체적인 기법과 전략은 책에 좀 더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당연히 IMVU는 이 방법론으로 2011년 연 매출 5000만 달러 규모의 회사로 성장하게 되고, 이후 린 스타트업 방법론은 실리콘 밸리의 여러 IT 스타트업을 비롯해 정부 기관 등 다양한 곳에서 주목을 받고 도입되었거나 도입을 시도 중입니다. 국내에서도 몇몇 IT 스타트업들이 린 스타트업 기반으로 제품(또는 서비스)를 개발 중이라고 합니다.

물론 늘 그렇듯이 린 스타트업 방법론 자체가 성공 보증 수표는 아닙니다. 다만 한 치 앞도 예측하기 어려운 창업 환경에서 어느 방향으로 어떻게 전진해야 헛발을 디디지 않을지 판단하는 데 유용한 예광탄 기능을 해주리라 생각합니다. 아블라컴퍼니의 CEO 노정석 님이 쓴 추천사도 함께 읽어 보시기를 권합니다.

『린 스타트업』 번역은 실제 린 스타트업으로 서비스를 개발 중인 아블라컴퍼니의 이창수 님이 수고해 주셨습니다. 다음 서점에서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구입처

교보문고 |  알라딘 |  인터파크 |  반디앤루니스 | Yes24 | 11번가 | 리브로

정오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