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안내]
인간, 조직, 권력
그리고
어느 SW 엔지니어의 변(辯)
WBS는 고객이 개발자를 통제하려는 수단이다. 작성하지마라. 일정을 작성하더라도 마일스톤만 정하되 한 달 이하로 작업을 쪼개지 마라……프로젝트 계획서는 고객이 경영층에 과시하기 위한 수단이다. 진척 상황 관리는 반드시 숫자로 보고하도록 하라. 그래야 경영진의 간섭을 막을 수 있다…… 품질관리는 권력자가 전 조직을 통제하려는 수단이다……품질관리팀, PMO, 감리사 등 기타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감독자들의 속마음은 무엇일까? 이들의 기본 가정은 프로젝트팀은 믿을 수 없으며 언제든지 속이려고 한다는 것이다…
또 <탁월한 능력을 배양하라>고 주문합니다. 그냥 주어진 일 잘 마무리하는 정도의 능력이 아니라 어느 누구도 성공을 예측하지 않았던 프로젝트를 아무 일 없다는 듯 완수하는 그런 능력입니다. 어떻게 프로젝트를 완수했냐고 물으면 씩 웃으며 “그냥”이라고 아주 쿨할줄도 알아야 한답니다. 주변에 탁월하다고, 믿음직하다고, 하는 엔지니어는 모두 이런 생존본능과 능력을 지니고 있다고 합니다.
이 책은 이런 생존 본능과 탁월한 능력을 지닌 엔지니어들이 한국이라는 상황에서 어떻게 일하는지 상세히 알려줍니다. 정글 같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세계에 뛰어든 신입 엔지니어들에게는 좋은 안내서가 될 것입니다. 더불어 회사의 핵심 역량이 무엇인지 고민하는 경영자들에게도 이런 엔지니어를 찾아낼 수 있는 심미안을 줄 것입니다.
물론, 그렇다고 한국 소프트웨어 현장의 문제점을 모두 다루고 모두 해결할 수 있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또한 자신의 생각과 제안이 모든 문제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말하지도 않습니다. 다만 같은 시대, 동종의 현장을 살아가면서 느끼고 절실했던 얘기를 함께 나누고 서로의 생각을 확인하길 바라는 것 뿐입니다.
그래도 이 책에서 저자가 제기한 문제나 해결책으로 제안한 내용들은 이 현장에서 먹고사는 사람이라면 그냥 지나칠 수 없을 것임이 분명합니다. 인간, 조직, 권력이라는 창으로 바라본 한국의 소프트웨어 산업은 그야말로 전쟁터입니다. 총알과 포탄이 난무하고 온갖 사상자와 패잔병들이 나뒹구는 이 같은 상황에서 살아남으려면 아마도 저자의 경험을 잘 새겨들어야 할지도 모릅니다.
산다는 것은 항상 이렇게 자신과 타자가 뒤엉켜 진흙탕 속에 뒹구는 과정의 산물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살아남는다는 것은? 아마도 전략과 전술 그리고 처세와 배신이 난무하는 정치의 산물일지도 모릅니다. 한국의 열악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에서 탁월한 SW 엔지니어로 살기남기 위한 몸부림이 이 책에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무릇 한국의 소프트웨어 산업에서 자신의 미래를 생각하는 사람들에게는 이 책이 좋은 가이드가 되어 주지 않을까 바라봅니다.
저자의 소박한 바람을 끝으로 이 책의 소개를 마칠까 합니다.
부디 이 책이 한국의 어느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외로운 독백이 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강박관념과 불안, 초조에 시달리며 하루를 버티는 많은 개발자들에게도 그저 한 인간의 그럴듯한 경험담으로 치부되지 말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말그대로 생존법이 적혀 있군요…
정석은 아니지만 이 바닥에서 살아남고 커갈 수 있는 노하우가 묻어 있는 책 같습니다.
참 서글픈 책이네요… ㅠㅠ
좋아요좋아요
레몬에이드 님, 그리 서글프진 않습니다. 현실이 쫌 깝깝하다,, 정도…ㅎㅎ
좋아요좋아요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아니지만, 평소 관심있는 분야인지라 읽어 보게 되었습니다. 관심 분야라 그런지 어지간한 자기계발서보다 마음에 와 닿는 문구들이 많네요 ^^
다만 초판이라 그런지 오타 등이 꽤 많이 보입니다. 다음 판(판이라고 하는 것이 맞나요?) 부터는 수정되어 좋은 내용 많은 사람들에게 전해졌으면 합니다. 고생하셨습니다~
좋아요좋아요
헉~ 오타 등이 꽤 보이나요?
https://blog.insightbook.co.kr/notice/10 로 정리해 주시면, 다른 독자분들이 참조하실 수 있도록 정오표 페이지에 올리고, 다음 쇄에 반영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아요좋아요
소설책 읽는 듯, 술술 읽혀지네요. 그러면서 감정이입이 되는 건 무얼까요. 에궁
좋아요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