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웹을 돌아다니다가 CPU를 직접 설계/제작한 사진을 본 적이 있는데요.
8Mhz 속도로 작동하는 CPU에 역시나 직접 만든 그래픽 카드, 랜 카드 등을 연결한 뒤, 직접 만든 OS 위에서 웹서버까지 작동시켜 자신의 CPU와 컴퓨터를 소개하는 웹 페이지(This page is served by MyCPU라니…)를 보며, ‘천재다!’라고 외칠 수밖에 없었습니다.
헌데, 이 분이 사용한 반도체 칩마저 존재하지 않던 1945년에, 최초의 컴퓨터라 불리는 에니악(ENIAC)은 도대체 어떻게 만든 걸까요?

저희가 곧 출간할 찰스 펫졸드의 『CODE』에서는 원시적인 신호 체계부터 이야기를 끌어내어, 컴퓨터가 어떤 방식으로 정보를 전달하고 저장하는지를 쉽고 재미있게 설명합니다. 잠시 펫졸드의 인삿말을 볼까요?
… (전략) …
이 책 CODE에서는 가능한 한 과거에서부터 이야기를 풀어나가려고 했습니다. 놀랍게도, 19세기 이전의 초기 전신에 사용된 장비들을 이용해서도 컴퓨터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보여드릴 수 있었습니다. 적어도 이론적으로는 CODE의 17장 이전에 사용된 전자기기들은 모두 최소한 100년 전에도 구할 수 있었던 것들입니다.
… (하략) …
이 책을 읽으면 과거에 CPU를 만들던 방식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보다 더 중요한, 컴퓨터가 동작하는 방식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찰스 펫졸드 스스로도 『CODE』를 일컬어 ‘컴퓨터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설명하는 책’이라고 하고 있고요.

번역으로는 ‘아기벌레’라는 귀여운 별명의 블로그를 운영하시는 김현규 님께서 수고해주셨는데요. 공대생이라 걱정된다고 하신 말씀이 무색할 정도로, 이해하기 쉬운 문장을 만들어 주셨습니다.
CODE에 담긴 재미있는 이야기들은 차차 공개할테니, 기대 많이 해주시구요.
이 책을 읽은 개발자들이 CPU를 직접 만들어보겠다는 열정으로 용산 지하 상가를 뒤지고 다니거나, 밤늦도록 납땜과 씨름하고 있다는 소식을 어서 들을 수 있도록, 마무리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시험 때 사용하는 OMR 카드의 원조격인 천공 카드는, 1890년 미국 인구 조사에 사용되면서 유명해졌습니다. 천공 카드를 만든 허먼 홀러리스는, 천공 카드 기계를 대여하고 판매하는 Tabulating Machine Company를 설립하는데요. 이 회사는 몇 번의 합병 과정을 거쳐 어떤 회사로 거듭납니다. 이 회사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IBM이라고 생각하고 찾아봤는데 맞는거 같네요. ㅋㅋ
좋아요좋아요
저는 원고를 읽으면서 깜짝 놀랐는데, 도대체 어떻게 짐작을 하셨는지… ㅎㅎ
좋아요좋아요
CTR을 거쳐 IBM으로 이름이 바뀌었군요, IBM이 acoronym인지 몰랐는데 찾아보니 신기하네요.
좋아요좋아요
네. 저도 영문명을 보고 신기하다 싶었습니다. ^^
좋아요좋아요
늦었군요.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좋아요좋아요
IBM에게 컴퓨터는 아직까지도 ‘비즈니스 기계’에 불과한 걸까요? ㅎㅎ
좋아요좋아요
앗…늦었네요..IBM…. 바코드는 2차대전때 유태인의 인구조사를 해서 유명해졌죠.
좋아요좋아요
인구 조사에 바코드를 어떻게 활용했는지 궁금하네요. 이 책에도 바코드 이야기가 나오긴 하지만, 2차 대전이나 유대인 이야기는 없더라구요.
좋아요좋아요
많이 늦었네요.. IBM ㅋㅋ
인구조사 바코드는 찾기 힘드네요. 그래도 http://beauzard.blog.me/40004135141 여기의 바코드 이야기는 읽을만 하군요 ㅋ
좋아요좋아요
정보문화사에서 번역되어 나왔다가 절판된 책인데 정말 좋은 책입니다.
저는 절판이 되어서 없는 영어실력에 원서를 읽었는데 이책을 읽고 많이 배웠습니다.
프로그래머에게는 CA관련 최고의 책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좋아요좋아요
정보문화사에서 나왔던 책과 같은 책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책 두께 차이가 많이 나는데 이유가 무엇인가요? 답변 부탁 드립니다. ^^
좋아요좋아요
원서와 비슷한 크기의 판형으로 바꾸면서 쪽수가 차이나게 되었습니다. 내용은 큰 변화가 없구요.
소장 가치가 있다고 판단해서 원서의 초판과 마찬가지로 하드커버로 만들어서 가격도 조금 올라갔습니다. ^^
좋아요좋아요
덧붙여….
내용이야 원서가 같으니 다르지 않다고 할 수도 있지만, 훨씬 편하게 읽히는 번역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판단은 독자분들이 하시겠지만…. ^^
좋아요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