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칭! 아이폰 SDK 3.0』과 『프로그래밍 오브젝티브 C 2.0』을 독자들께서 많이 찾아주시다보니, 책에 대한 불만 사항도 그 어느 때보다 많이 접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 가장 자주 접하는 내용은 바로, XCode의 화면과 책의 설명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책이 나올 당시, 그러니까 2009년 7월(터칭) 혹은 9월(오브젝티브)까지의 최신 버전으로 작업했음에도 불구하고, 이후 XCode의 버전이 올라가면서 몇몇 화면들의 구성이 바뀌었기 때문인데요.

『터칭! 아이폰 SDK 3.0』의 2장에서는 인스펙터 창의 위치가 바뀐 것 때문에 많이들 어려움을 겪으셨습니다. 아래는 예전 인스펙터 창입니다. Identity 창의 인스펙터 탭에서 액션을 설정했었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음은 3.1.2의 인스펙터 창입니다. iPhoneRefViewController를 선택 후, Library 창의 Classes 탭에 보면 Actions 항목이 나타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출처: 『터칭! 아이폰 SDK 3.0』의 저자이신 강덕진 님께서 블로그에 올리신 글 – http://maclove.pe.kr/36

『프로그래밍 오브젝티브 C 2.0』에서도 비슷하게 바뀐 내용이 있습니다. 13쪽에서는 새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나타나는 화면에서 Command Line Utility를 선택하면(아래 그림), 오른쪽 구획에 Foundation Tool이 나타나야 하는데요(아래아래 그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새 버전에서는 아래와 같이 바뀌었습니다. 왼쪽 구획에서 Application을 선택한 다음 오른쪽 구획의 Command Line Tool을 선택합니다. (아래 그림)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 다음에 아래와 같은 그림이 나타나면 Type을 Foundation으로 지정하고 Choose 버튼을 눌러서 새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비슷하면서도 다른 부분 때문에, 프로그래밍에 처음 도전하거나 익숙치 않은 분들께 불편을 끼쳐드렸습니다. 이 내용들은 모두 재쇄를 찍으면서 수정이 되거나, 관련 사항을 책에 표시했구요.

책이라는 매체가 고정성이 강하다보니, 미리 구입하신 독자들께 수정된 내용을 알리기가 참 쉽지 않습니다.

그래도 최선을 다해서, 잘못된 정보를 바로 잡고 또 널리 알리는 인사이트가 되겠습니다. 사랑과 관심이 담긴 따뜻한 지적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