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세상을 덮친 Eclipse 3/e』이 제작에 들어갔습니다. 이제 다음 주면 만나실 수 있겠네요. 개정에 맞춰 저자이신 윤성준 님께서 서문을 새로 써주셨는데요. 1판을 집필하면서 고민하셨던 이야기가 녹아있어서 잠시 소개해볼까 합니다.
이 책 초판의 공동 저자인 조상민, 송정일과 처음 작업을 할 때만 해도 그저 욕이나 먹지 않으면 다행이라 생각했다. Eclipse에 대한 책을 써 달라는 출판사의 청탁을 받고 인터넷 서점에서 개발 도구에 대한 책을 검색해 서평을 확인해보니, 이런 종류의 책을 써서 좋은 소리를 듣기는 어렵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이 책의 초판, 2판에 대한 서평을 보면 호의적인 평뿐 아니라 예상했던 대로 부정적인 평도 있다.
1판의 저자들이 예상했듯이 이 책의 인터넷 서평은 극명하게 갈리는 편입니다. 윤성준 님께서도 이런 서평들을 읽어보신듯 계속해서 다음과 같이 쓰셨지요.
인터넷 서점의 서평을 보면 이 책의 독자 수준이 매우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책의 내용이 별 것 없다, 차라리 도움말을 보는 게 낫겠다고 말하는 독자도 있었고, 책의 설명이 불친절해 따라 하기 어렵다고 불평하는 독자도 있었다. 심지어 이 책에서 Eclipse 외의 다른 것(그게 대체 무엇일까 궁금하다)을 기대하는 독자도 있었다.
그러고나서 이 책의 대상 독자를 다시금 명시해주셨습니다.
이 책을 처음 쓸 때 우리(공동 저자)는 다양한 계층의 독자를 모두 만족시킬 수는 없을 것이라 생각해 목표 독자(또는 대상 독자)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1. Java 개발은 어느 정도 하지만 Eclipse를 처음 접하는 개발자
2. Eclipse를 쓰고 있지만 아주 간단한 기능만 알 뿐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개발자
사실, 초보 개발자에게는 친절하면서도, 중,고급 개발자에게는 깊이 있는 내용으로 다가가려다 보면, 이도저도 아니고 두껍기만 한 책이 나올 우려가 큽니다. Java, C, Python 등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를 가르쳐주는 책이 어떨지를 생각해보시면 빠르겠네요. ^^ 그래서 출판사에서는 모든 책마다 ‘이 책의 대상 독자는 누구일까?’를 고민하여 특정 독자층을 선정하고 독자층에 딱 맞는 책을 만들기 위해 노력합니다만, 그러면서도 가능한 많이 팔리기를 바라는 이율 배반적인 행동이 바로 ‘대상 독자 선정’입니다. ㅎㅎ
그런데 대상 독자를 정했더라도 책을 서점에 진열해두면서 ‘고급 개발자라면 이 책을 보지 마시오!’ 식의 경고 문구를 붙이지는 않으니, 실제로는 책이 필요하다고 느낀 독자들께서 수준 고하를 막론하고 구입하시게 됩니다.
(사실 책 앞면이나 뒷면 혹은 안쪽 면에 경고 문구와 비슷한 기능의 문구를 넣어두긴 합니다. 예를 들어 『프로 자바스크립트 테크닉』은 제목에서도 대상 독자를 감지할 수 있겠지만, 뒷표지에도 이런 문구를 넣어 두거든요. ‘자바스크립트를 한동안 다뤘던 개발자라면 이미 알고 있을 기본적인 사항들을 배제하고…’ 하지만 앞표지에 크게 ‘누구누구는 보지 말라’라고 하기는 어렵겠죠?)
이렇게 구입하신 독자들께서는 책이 좋았다거나 나빴다라는 의견들을 온라인에 올려주시는데요. 대상 독자가 아닌 분들께는 아무래도 부족한 부분이 많이 드러나게 마련이라 나쁜 평가를 받기도 하고, 때론 오해를 사기도 합니다. 심지어는 대상 독자를 고려하려는 의도가 담긴 부분들에 대해서도 혹평을 얻게 됩니다.
『Java 세상을 덮친 Eclipse』의 이전 판 역시 대상 독자들이 Java 개발은 잘 알고 Eclipse 활용에는 조금 미숙하리라는 점을 고려해두었습니다. 될 수 있으면 예제 코드를 간단히 하고 대신 기능 설명에 주력하자. 모든 기능을 다루려고 하기보다는 중요한 기능만을 설명하자. 책 내용을 늘리기보다는 책을 읽은 후에 더 필요하다고 여기는 부분들을 스스로 해결할 수 있게 도와주자.
하지만 이런 점들 때문에 예제 코드가 부실하다느니, 인터넷에서 모두 찾을 수 있는 내용이라느니, Eclipse 설명 외에 다른 건 얻을게 없다라는 같은 평가를 받기도 했지요.
하지만 책의 가치를 좋게 평가해주시는 분들도 계셨기에 2003년 발간 이래 이클립스 입문서로 확고히 자리잡았고(또, 가장 많이 팔리기도 했죠 ^^), 책이 필요하다는 분들도 많이 계시기에(결국 제로섬(zero sum)인가요?) 또한번 개정판을 준비할 수 있었습니다. ^^
본문 디자인과 표지가 바뀌기도 했지만 무엇보다도 부정적인 서평에서 지적하신 점들을 반영해보려고 애를 썼습니다. 예제 코드가 실행되지 않는다는 분이 계셔서 코드가 실행되는지 작성해보았고,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는 정보 외에 뭔가 드릴 것이 있을까 하여 예쁜 단축키 일람표(CheatSheet)를 넣기도 했구요. (Eclipse 설명 외에는 얻을 게 없다는 평은 어떻게 대처해야할지 아직도 어렵기만 합니다. ^^aa)
이렇게 여러모로 노력을 해보았으나 평가는 역시나 독자들께 맡겨 드립니다. 단, Eclipse를 능숙하게 잘 사용하고 있다는 개발자께서는 이 책을 절대 읽지 마세요. (대신 주변에 추천해주세요. ^^)
마지막으로 3판에서 변경된 표지(위)와 이전 판 표지(아래)를 올려봅니다. 이전 판과 비교할 때… 어떠세요? ^^
저 같은 초보 개발자에게는 정말 가치있는 책이라 생각합니다.^^
인터넷에서 이 책만큼 적절한 예제로 잘 구성되어 있는 자료는 구할 수 있을까요?
개정3판은 표지가 더 강렬해진 느낌이네요.
다만 때 탈까봐 걱정되는…^^
좋아요좋아요
ProgrammingInsight 시리즈의 바탕이 하얀색이어서 조금 걱정이 되시죠? 그래도 땅에 떨어뜨려 몇 바퀴 구르지 않는 이상 아주 심하게 더러워지지는 않더라구요. ㅎㅎ
좋아요좋아요
3판 표지는 정말 멋진데요 ㅎ
제대로 표현되는듯…
참 그래서 어떤 출판사는
책 후면에 꼭 난이도나 독자층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더군요
초보용, 중급자용 등등 🙂
좋아요좋아요
저희도 고려해보겠습니다.
그런데 콕 집어 표시하기가 어려운 책들도 많으니 또 문제네요. 그래서인지 외국의 어떤 출판사는 아예 대상 독자의 범위를 표시하기도 하더라구요. ㅎㅎ
좋아요좋아요
정말 좋았던 책이에요.. ^^
3판도 기대되요~
좋아요좋아요
기대에 부응하는 책이면 좋겠습니다. ^^
좋아요좋아요
한기성 사장님께 이 책의 원고를 받아 보았던게 엇그제 같은데 벌써 3판이네요… ^^
저는 1판을 보았고 1판도 좋았지만 3판은 더 좋아졌을거라 기대합니다. 대표적인 이클립스 입문서로 쭈욱~ 남아있길 바랄께요!
좋아요좋아요
그러게요. 시간이 살같이 흐르네요.
신촌 저 뒤편의 책상 두 개, 티테이블 하나 놓인 조그만 사무실(그것도 남의 사무실)에서 송치형 님을 모시고 무수히 많은 것들을 여쭙고 배웠던 게 엊그제만 같은데 말입니다.
좋아요좋아요
고등학교 2학년생입니다.
초보 Java Programmer 인데 지금까지 Editplus로만 써와서 디버깅이(;;)안돼서 불편했습니다.
이제 100줄이 넘어가는 코딩을 하다 보니까 eclipse를 다운받게 됐는데 이 책이 큰 도움을 주리라 기대합니다(어제 예약주문 했답니다)
좋아요좋아요
와~ 요즘은 고등학생때 부터 자바를 공부하시나 보네요.
부디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좋아요좋아요
이 책 기대하고 있어요ㅎㅎ
좋아요좋아요
감사합니다. ^^
좋아요좋아요
책 표지가 왠지…
이제 더 이상 개정판이 나올 것 같지 않게 생겼군요?ㅋ
마지막이다!! 하는듯한 분위기?ㅎ
이 책 저도 완전 기대하고 있어요.
이클립스의 기능을 거의 모르고 있어서 책을 찾아봤는데
다 예전에 나온 책들이라 현재 쓰고있는거에 잘 맞지가 않았어요.
사기도 좀 그렇고;;
그런데 이런 저에게 갑자기 개정판이 나왔다는 소식을 웹서핑하다
우연히 발견하게 됐어요!!
그래서 예약해놓고 지금 기다리는중~ㅎ
내일 배송출발하는 걸로 알고있는데…ㅎㅎ
열심히 보겠습니다!!ㅎ
좋아요좋아요
개정판이야 이클립스 버전이 올라가고 기능이 바뀌면 또 나올겁니다. (그렇죠 윤성준 님? ㅎㅎ)
기대에 부응하는 책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
좋아요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