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PoCP를 아시나요?
초판 1971년 발간. Silver Anniversary Edition, 즉 25주년 기념판이 나온 게 98년이니 초판 발간 후 37년이 지난 타이틀입니다.
(산천이 거의 네 번 변하는 시간이 흘렀으니, 바쁘게 변하는 세상에서 케케묵은 내용이 되었을까요? 글쎄요. 그건 독자 분들이 평가하시겠죠.)
이 책의 번역이 드디어 끝났습니다. 발간하는 책마다 사연이 없는 건 없습니다만, ‘드디어’라고 표현한 건 개중에서도 우여곡절이 많았기 때문입니다. (발간에 얽힌 뒷이야기는 기회가 생기면 차차 더 하겠습니다.)
번역은 최종적으로 조상민 님께서 마무리 해주셨습니다. 윤성준님과 ‘생각하는 프로그래밍’, ‘패턴을 활용한 리팩터링’을 번역하셨고, 마찬가지로 윤성준님과 ‘자바 세상을 덮치는 이클립스(1판)’을 집필하신 실력 있는 개발자이자 번역자이시죠.
이제 번역이 마무리 되었기에, 완성도를 높여주실 리뷰어를 모집합니다. 분량은 원고의 1/4정도이며, 총 12명의 리뷰어를 모실 예정입니다.
리뷰를 하고자 하시는 분은 저희에게 연락주시거나, 아래에 댓글로 달아주시면 됩니다. (비밀 댓글도 괜찮습니다!)
단, 신청해 주실 분들은 아래의 사항을 유념해주세요. ^^
- 영어와 한국어에 능통하셔야 하는 건 기본이겠죠 ^^;
- 번역은 원문을 그냥 옮기는 게 아니라 또 다른 창작이라 할 수 있습니다. 번역의 어려움을 아시는 분이 원고를 조금 더 잘 보실 수 있으리라 생각해, 신청하시는 분이 12명을 넘으면 번역 경력, 그 중에서도 책 번역 경력이 있는 분을 우선하겠습니다.
- 심리적인 내용을 다루고 해당 용어들이 나오기 때문에 심리학 쪽 경력을 가진 분도 우선하겠습니다.
1/4 분량이라지만 꼼꼼한 리뷰라면 꽤 시간이 걸린답니다. 책을 먼저 읽어볼 기회니 일단 한번 해보자는 마음이시라면, 죄송하지만 신청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리뷰어 여러분의 기여가 추후 모든 독자분이 더 나은 번역서를 읽는 바탕이 될 테니, 성실하고 꼼꼼하게 원고의 오탈자까지 점검해 주실 분들이 신청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희에게 연락주실 때, 간단한 소개(번역 경력 포함)와 TPoCP를 이미 원문으로 읽으셨는지 여부 등을 적어 주시기 바랍니다. 리뷰어는 일단 23일까지 모집하고, 세부적인 진행 상황 등은 연락주신 분들께 따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참고로, The Psychology of Computer Programming의 저자 Gerald M. Weinberg는 익히 알려진 대로 40여 년간 IT 업계에서 컨설팅을 해온 신화적인 분이고, 수십 권의 저술서가 있습니다. 그 중 ‘대체 뭐가 문제야?(원제 : Are Your Lights On?)’, ‘컨설팅의 비밀(원제 : The Secrets of Consulting)’을 저희 출판사에서 발간하기도 했구요.
TPoCP는 Jerry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고, ‘Code Complete‘, ‘Professional 소프트웨어 개발’로 유명한 스티브 맥코넬이 최고의 책 10권에서 첫 번째로 꼽은 책입니다. (2위는 Programming Pearls! 저희 출판사에서 발간하고 조상민님께서 번역하신 ‘생각하는 프로그래밍’이네요. ^^)
리뷰를 해보고 싶습니다. 일단 영어가 약하나 역자분께서 번역한 부분이 제2의 창작이라 생각하고 이해도에 대해서 그리고 독자로서 리뷰를 하겠습니다.
좋아요좋아요
와우. 이런 고전이 번역되서 나오리라곤 기대하지 않았는데요. 리뷰에 참가하고 싶습니다.
‘소프트웨어 컨플릭트 2.0’과 ‘실천가를 위한 실용주의 프로젝트 관리’에 참가한 적이 있습니다. 최근엔 번역하고 있는 책도 있습니다.
이메일: kaistizen@gmail.com
좋아요좋아요
리뷰어 신청합니다.
좋아요좋아요
유상민 님은 TPoCP와 특별한 인연이 있지 않으신가요? 마침 리뷰와 관련해 메일을 드렸답니다. ^^ – ks
좋아요좋아요
앗, 제랄드 와인버그 형님의 책이군요!
이미 2권이나 베타리딩중이라서 번역서나 읽어봐야겠어요~ ㅋㅋ
좋아요좋아요
제럴드 와인버그와 윤성님의 만남이라니 기대되는걸요.
“패턴을 활용한 리팩터링”에서 날로 먹은 경향이 있어서 이건 번역서 나오면 볼래요
수고가 많으십니다.
아, 혹 번역이 예정된 책 있으면 블로그에서 알려주시면 좋겠네요. 많은 책들이 원서를 사고 나서 바로 나오는 번역서에 가슴아프네요.
좋아요좋아요
어… 윤성준님은 아니고 조상민 님께서 번역하신답니다. 윤성준님과는 ‘생각하는 프로그래밍’ ‘R2P’를 번역하시면서 찰떡궁합을 보여주신 분이죠. ^^
그리고, 저희도 번역 예정인 책들을 바로 공지로 올려드리면 좋겠지만, 때론 3년에서 5년 걸리는 경우도 있어 쉽지 않답니다. TPoCP도 번역에 돌입한 게 언제인지 기억조차 못할 정도니까요.
뭐… 김성안님이 원서를 구입하시기 전에 개인적으로 멜을 보내시면 이런 사정까지 고려해 살짝 말씀드리죠. ^^a – ks
좋아요좋아요
참여해보고 싶은데, 여의치 못해 안타깝네요.. 번역본 나오면 꼭 읽어봐야겠습니다..
좋아요좋아요
미병님 같은 분이 참여해 주시면 아주 좋았을 텐데…. 저희도 아쉽네요. 종종 이 블로그에 리뷰를 요청하는 글들이 올라갈 테니, 다음 기회에 부탁드리겠습니다. – ks
좋아요좋아요
저도 해보고 싶은데…조건들에 부합하질 못하네요 ^^: 아쉽네요. 다음 기회로….^^
좋아요좋아요
대략 10년 정도의 프로그래밍 경력이 있고 – 주로 SI일을 하다가 지금은 sap에 인수된 outlooksoft(www.outlooksoft.com)에서 BI관련 프로그램을 만들고 있습니다. 다국적기업이라 커뮤니케이션에 사용되는 주 언어가 영어이기 때문에, oral English은 안 되어도 writen English에는 어느 정도 자신이 있습니다.
돈 받고 한 번역경험은 없으나, 군대에서 불교서적(심론)을 번역한 적이 있고(흠, 점심을 얻어 먹었네요^^), 자카르타 한글홈페이지를 만들다가 http://cafe.daum.net/hanjakarta 취업후에 중단한 적이 있고, xp diary를 wiki상에서 절반 정도 번역을 진행한 적이 있습니다.
심리학관련 서적은 도서관에서 살다시피 할 때, 기본개론서들을 몇 권 읽었습니다.
번역철학은 저자의 대상독자의 콘텍스트와 역자의 대상독자의 콘텍스트를 고려해야 한다는 김용옥씨의 글에 주로 영감을 얻습니다.
TPoCP를 읽은 적은 없습니다.
질문이 있으시면 jlee at outlooksoft.com 으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좋아요좋아요